♤ 문학의닻별

[스크랩] 『한국 시문학의 빈터를 찾아서 2』

꼬맹이소나무 2014. 7. 28. 16:31

 

 

 

  머리말 / 5

 

  01. 한국 시문학사의 변방에서 / 15

 

 『님의 침묵밖에서 찾아본 한용운의 시 ………… 13

  백석이 분단 이후에 발표한 시의 의미 ………… 39

  ‘順伊가 등장하는 윤동주 시 3편의 의미 ………… 59

  시를 통해 본 김동리의 인간적인 면모 ………… 66

  박경리가 남긴 시의 의미와 의의 ………… 87

  박경리의 시에 나타난 생명사상 ………… 112

  김지하의 시를 미학적 관점에서 살펴보다 ………… 138

  조오현의 시에 나타난 불………… 160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경남 하동의 모습 ………… 179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황해의 모습 ………… 198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옛 선비들의 유배생활 ………… 218

 

  02. 한국 문학사의 변방에서

 

  신동엽홍윤숙장호문정희의 시극 ………… 243

  시인들이 왜 시조를 쓰기 시작한 것일까? ………… 272

  사진이 들어가는 한국 현대시의 흐름 ………… 298

  전혜린은 꺼지지 않는 불꽃인가 스스로 불어 꺼진 촛불인가 ………… 330

  시인들은 핵과 원자력발전소 문제를 어떻게 다루어 왔는가 ………… 346

  장르문학과 순문학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 ………… 381

  벼랑에 선 한국시를 어떻게 할 것인가 ………… 391

  해방 이후 이 땅에서 명멸해간 요절시인들 ………… 406

  시와 무용이 만나온 길고 긴 역사 ………… 456

  원산의 문학동인지 凝香필화사건 전말 ………… 476

  이념에 의한 문학에서 인간을 위한 문학으로백철 비평의 의의 ………… 490

 

  표4

 

  이번에 제가 준비한 책에는 한국문학의 빈터 혹은 변방에 있는 작품을 문학사의 성채 안으로 끌어들이려는 마음으로 쓴 글들이 모여 있습니다. 한용운은 님의 침묵을 낸 시인이지만 그 시집 밖의 시는 연구가 미진한 감이 있습니다. 분단 이후에 백석이 쓴 시들도 살펴보았습니다. 소설가 박경리가 생시에 낸 4권의 시집과 사후에 나온 유고시집에는 어떤 시들이 실려 있을까요? 미학과를 나온 김지하의 시를 미학적 관점에서 읽어보기도 했고, 윤동주의 시 3편에 나오는 순이가 도대체 누굴까 생각해보기도 했습니다. 이 땅의 시인들이 왜 유배를 갔던 선비들에게 관심을 가졌던 것일까요? 우리 현대시에 황해나 경남 하동은 어떤 모습으로 그려졌던 것일까요?

 

  신동엽홍윤숙장호문정희 시인의 시극, 허영자오세영유자효 시인과 구중서 문학평론가의 시조집도 읽어보았습니다. 사진이 들어가는 현대시, 핵과 원자력발전소 문제를 다룬 현대시, 요절한 시인들의 유고시집, 시와 무용이 어떻게 만나왔는가, 해방 직후 원산에서 나온 동인지 凝香필화사건의 전말 등 한국 시문학사가 놓치고 있던 것들을 짚어보려고 했습니다. 장르문학이 약진하는 이유도 살펴보았습니다.

 

  독자 평

 

  교수님, 이번에 출간하신 『한국 시문학의 빈터를 찾아서 2』 아주 잘 읽었습니다. 그간 한국문학 연구에서 소외되어 있던 시문학의 여러 연구주제를 명의가 혈자리를 찾듯 날카로우면서도 따뜻하게 짚어주셔서 시와 문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큰 도움이 되리라 믿습니다.

   

  <1부>에서 다루신 한용운, 백석, 윤동주, 김동리, 박경리, 김지하, 조오현의 시들은 제가 평소 알던 작품들이 아닌 시인들의 숨은 면모를 보여주는 시들이어서 보다 폭넓은 시세계를 접할 수 있었습니다.

   

  <2부>는 더욱 흥미로운 내용들이 많았는데요, 특히 사진이 들어가는 현대시들, 시인들이 쓴 시조들, 핵과 원전에 관한 시들, 해방 이후의 요절시인의 시들, 시와 무용의 만남 편은 시인으로서 개척해야 할 주제와 기법의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큰 자극이 되었습니다.
송유하 김만옥 등 요절시인들의 뛰어난 유고작들은 안타까움을 더하게 합니다.

 

  500쪽의 책을 내시기 위해 얼마나 많은 참고자료를 탐독하셨을지 생각만 해도 교수님의 열정과 노고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네요.
좋은 평론집으로 부족한 독자에게 항상 문학공부의 場을 마련해 주셔서 감사드려요.^^  (소풍)

 

 

 

 

 

출처 : 이승하 : 화가 뭉크와 함께 이후
글쓴이 : 이승하 원글보기
메모 : 『한국 시문학의 빈터를 찾아서 2』,이승하